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해부학연구원

평균연봉 : 4644↑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수리논리력

유사직업명

해부학자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해부학연구원은 사람과 동물의 형태, 구조 및 기타 해부학적 특성을 연구하여 과학지식을 증진하고 의학 및 관련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담당한다.

대학에서 학생들이 인체의 정상 구조와 각 장기들의 상호 관계를 학습하고 의학교육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가르친다.

해부 실습을 통해 사람과 동물의 신체 구조를 확인하고 해부학적 특성을 연구한다.

적성 및 흥미

신체나 동물에 대한 해부학과 의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인간의 몸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 생명에 대한 존엄성이 요구된다.

장기간의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차분한 성격, 끈기, 인내심, 관찰력 등이 요구된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과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111생명과학 연구원
고용직업분류 1221생명과학 연구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대학, 대학병원, 일반 종합병원 등의 연구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정부출연연구소의 정규직 연구원의 경우 1년간 결원 및 수요인원을 확인하여 연초나 연말에 공채를 통해 채용을 하며, 공개채용의 경우 연구원 홈페이지 및 인터넷 외부 구인 사이트를 통해 공고 후, 채용 절차를 진행한다. 채용 시 관련분야 전공과 연구경력이 주된 평가요소가 된다.

  • 고용현황

    해부학연구원를 포함한 생명과학연구원의 종사자 수는 38,000명이며, 보건·의료, 생물정보, 환경·에너지 등 타 기술과의 융합과 응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줄기세포 연구, 뇌 연구 등 생명공학 산업의 성장과 함께 생물학연구원의 고용도 다소 증가하여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해부학연구원를 포함한 생명과학연구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644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해부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의학이나 수의학, 생물학, 생화학 등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의학 또는 생물학 관련 분야에서 석사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해부학연구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별도의 직업훈련과정은 없다.

  • 관련 자격증

    해부학연구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대한해부학회 http://www.anatomy.re.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