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자연과학연구원

평균연봉 : 4628↑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유사직업명

지질연구원, 물리학연구원, 수학연구원, 화학연구원, 통계학연구원, 천문학연구원, 지질학연구원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물리학, 천문학, 지학 등을 연구하여 관련 개념, 이론 및 운영방법을 개선하거나 개발한다.

물리학, 천문학, 지학 등의 원리와 기법을 산업분야에 응용할 수 있도록 조언한다.

수학, 통계학 이론을 연구하고 과학, 공학, 사회과학과 같은 분야의 문제 해결을 위해 수학이나 통계학적 기술을 개발하고 응용한다.

과학적인 논문 및 보고서를 작성한다.

적성 및 흥미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정신과 호기심, 창의성, 관찰력이 요구된다.

물질의 기본 특성 및 이론적 개념을 이해해서 논리적 판단을 할 수 있는 지적 능력과 꼼꼼한 관찰력이 요구된다.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 및 분석력이 요구되며 실험기기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실험 및 검사,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컴퓨터 및 정밀기기 활용능력이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과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112자연과학 연구원
고용직업분류 1211자연과학 연구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련분야의 연구경험이 중요하기 때문에 석사과정 중에 학내외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원에서 연구보조원(RA), 인턴연구원으로 근무하거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생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입직 시 유리하다.
    정부출연연구소의 정규직 연구원의 경우 1년간 결원 및 수요인원을 확인하여 연초나 연말에 공채를 통해 채용을 하며, 공개채용의 경우 연구원 홈페이지 및 인터넷 외부 구인 사이트를 통해 공고 후, 채용 절차를 진행한다. 연구직 분야는 채용 시 관련분야 전공과 연구경력이 주된 평가요소가 된다. 연구직 채용 전형과정은 석사학위자의 경우 서류심사 → 필기시험(전공) 또는 발표심사 → 면접의 과정을 거친다. 박사학위자의 경우 서류심사 → 연구실적심사 및 (영어)논문발표심사 → 면접 등의 과정을 거친다. 계약직 연구원의 경우 인력필요 시 연구원 홈페이지 및 외부 인터넷 구인 사이트를 통해 연중 수시 모집하고 있으며, 서류전형과 면접 등의 과정을 통해 선발되며 보통 석사 급을 채용하고 있다. 한편 국책연구소의 경우 수시로 박사 후 연수자(PostDoc)를 모집하기도 하며, 서류전형 및 연구실적 심사 등으로 선발한다. 일반기업은 기업의 홈페이지나 언론매체 등에 관련 분야별로 채용공고를 한다.
    승진체계는 연구소의 경우 보통 연구원 → 선임연구원(부연구위원) → 책임연구원(연구위원) → 수석연구원(선임연구위원) 등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고 기업에 따라 연구원, 책임연구원만을 두고 있는 경우도 있다. 수석연구원 및 책임연구원은 내부 승진뿐만 아니라 외부영입에 의해서도 채용된다. 승진 시 근무기간과 연구 업적이 중요한 평가요소가 된다.

  • 고용현황

    자연과학연구원종사자수는 20,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우리나라가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지식, 정보, 과학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자연과학 분야의 연구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기초과학기술 인력의 체계적 육성과 지원을 하고 있으므로 자연과학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자연과학연구원 평균연봉(중위값)은 4628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자연과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하여 관련 분야의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자연과학연구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별도의 직업훈련과정은 없다.

  • 관련 자격증

    자연과학연구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대한지질학회 http://gskorea.or.kr
한국지진공학회 http://www.eesk.or.k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www.kigam.re.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