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농업/천연자원분야

채소 및 특용작물재배자

평균연봉 : 2338↑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신체운동능력, 자연친화력

유사직업명

채소재배자, 섬유작물재배자, 약용작물재배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농수산과 , 식물자원학과
관련자격
농기계정비기능사, 농기계운전기능사, 농업기계산업기사, 농업기계기사

하는일

채소 및 특용작물재배자는 채소나 인삼 등의 약용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각종 채소 및 특용작물 재배방법 등을 이용하여 채소 및 특용작물을 생산하고 수확한다.

재배할 작물의 종류와 양, 재배면적을 결정한다.

농기계류, 기구, 재배할 작물, 경작지를 준비하고 삭물의 종류에 따라 재배방법을 결정한다.

경작지에 종자를 심고 필요에 따라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여 채소 및 특용작물을 재배하고, 다 자란 채소나 특용작물들은 수확하여 시장에 판매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적성 및 흥미

채소와 특용작물 재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재배 방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농작물재배 시 농기계를 사용하기 위해 작동 및 수리방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채소와 특용작물 재배 등 농업은 육체적인 노동이므로 신체적으로 건강해야 하며, 인내심과 끈기가 필요하다.

진취형과 현실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인내심, 성취, 독립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농업/천연자원분야
표준직업분류 6112채소 및 특용작물 재배원
고용직업분류 9012채소·특용작물 재배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특용작물재배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학력 제한은 없다. 주로 농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나 한국농수산대학 등에서 특용작물과 재배 방법, 기술 등을 배우고 특용작물재배자로 활동하게 된다.
    자신의 경작지에서 또는 다른 사람의 경작지를 임대하여 직접 농장을 경영할 수도 있으며, 다른 사람의 농장에 취업할 수도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채소 및 특용작물재배자와 관련 직업인 채소작물재배자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반적인 농업침체, 해외 농산물개방에 따른 국내농산물의 경쟁력약화, 농업의 기계화 및 시설자동화, 농가소득 감소 등으로 농업에 종사하는 인력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농촌은 교육, 의료, 주택, 문화 등 주거환경에서 도시와 격차가 심해 귀농하여 농업에 종사하려는 청년층이 많지 않아 채소작물재배자의 수는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에서도 외국농산물과 경쟁할 수 있는 고품질의 농산물생산과 안전한 먹거리를 찾는 소비자를 위한 친환경·유기농 농산물재배 등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정보화시스템을 통한 소비자 직거래 활성화, 농산물유통단계 축소를 통한 적정 농산물가격의 보장 등 농업경영환경개선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채소 및 특용작물재배자와 관련 직업인 채소작물재배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1468만원, 평균(50%) 2337.982만원, 상위(25%) 3579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채소 및 특용작물재배자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의 제한은 없으나 농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등에서 농업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농기계운전기능사, 농기계정비기능사, 농업기계기사 및 산업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국립농업과학원 http://www.naas.go.kr/
농협 http://www.nonghyup.com
농촌진흥청 http://www.rda.go.kr
농협대학교 http://www.nonghyup.ac.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