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공학분야(숙련직)

직조원

평균연봉 : 3155↑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미만 고용평등 : 좋음

유사직업명

방직원, 편직기조작원, 망(그물)제조기조작원, 통경기조작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자격
염색기능사

하는일

직조원은 섬유로부터 생산된 실을 이용하여 천 등의 직물을 만들어내는 기계 즉, 직기를 조작하는 일을 담당한다.

작업지시서에 따라 제작할 직물의 조직과 무늬에 대해 파악하고 직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실을 준비한다.

소정의 밀도와 올수에 맞추어 경사를 정경 비임에 감는다.

실의 강도를 높이고 제직중 마찰로 인한 끊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에 풀을 입히는 호부기를 조정, 조작한다.

직기를 가동하고 직물의 무늬, 무게, 속도 등 제반조건을 확인하고, 끊어진 실을 연결하며, 기계의 기능장애를 점검, 조정한다.

적성 및 흥미

각종 섬유제품의 특성이나 방직 원리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방직공정에 필요한 기계를 작동해야하므로 기계에 대한 흥미와 적성이 필요하다.

주로 서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건강해야 하며, 인내심과 끈기가 요구된다.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리더십, 책임감, 꼼꼼함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공학분야(숙련직)
표준직업분류 8221직조기 및 편직기 조작원
고용직업분류 8612직조기·편직기 조작원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교육기관의 소개 등을 통해 섬유제조업체나 의류제조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다.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직조원과 관련 직업인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이 주로 종사하는 섬유제품 제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섬유제품제조업,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제조업의 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어 관련 산업이 정체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의 섬유제조업체들은 생산시설 및 공장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하여 소수의 인력으로 제품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또한 국내 인건비가 상승함에 따라 생산단가에 있어 경쟁력이 떨어져 인건비가 싼 중국이나 베트남 등으로 생산공장을 이전하고 있어 국내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봉제, 원사제조, 제직 및 염색가공과 같은 전통적인 섬유산업은 해외 현지생산의 확대로 국내에서 비중이 점점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섬유산업에서 청년층 등의 신규인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이·전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체일자리가 많아 취업은 비교적 쉬울 것이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직조원과 관련 직업인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695만원, 평균(50%) 3154.682만원, 상위(25%) 3809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직조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직업 훈련

    현장에서 숙련 제조원을 보조하면서 필요한 기능을 습득할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섬유물리기사 및 산업기사, 섬유화학기사 및 산업기사, 염색기능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의류산업협회 http://www.kaia.or.kr
한국섬유산업연합회 http://www.kofoti.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