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언론/문학분야

카피라이터

평균연봉 : 3877↑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보통이상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카피라이터는 기발한 아이디어나 감수성으로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가 일반인들에게 쉽게 기억될 수 있는 광고 문구나 문안을 작성하는 일을 담당한다.

상품 또는 용역에 관한 정보를 얻고 광고문안의 길이와 형태 등을 토의하기 위해 광고주 및 시장조사 분석가와 협의한다.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광고를 위한 부가적인 배경정보를 얻고, 광고문안을 작성하기 위하여 상품 및 용역의 시장조사, 소비자성향조사, 광고경향조사 등의 자료를 검토한다.

상품의 효능, 기업 이미지, 대중의 생활 방식 등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판매촉진을 위한 아이디어와 원고를 작성한다.

광고전략에 따라 광고문안, 즉 표제어(head copy), 부제어(subhead copy), 본문(body copy), 슬로건(slogan) 등을 작성한다.

적성 및 흥미

아이디어를 명확한 논리와 풍부한 감성으로 문장화할 수 있는 능력은 물론,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관이나 시대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항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이에 대한 스트레스를 잘 견디어낼 수 있는 인내심과 대처능력이 필요하다.

외국의 상품광고, 외국어, 마케팅, 소비자 심리 등 여러 분야의 지식과 상식이 요구된다.

탐구형과 예술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언론/문학분야
표준직업분류 2811작가
고용직업분류 4111작가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와 특채를 통해 채용될 수 있으며, 각 광고 공모전의 입상 경험이 있으면 취업시 유리하다. 보통 대형 광고회사나 기업체의 광고부서, 기획사, CF 프로덕션, 이벤트 기획사, 방송국, 홈쇼핑회사, 유통업체 등 광고 판촉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서 일할 수 있다.

  • 고용현황

    카피라이터를 포함한 작가 및 관련 전문가의 종사자 수는 19,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다만 카피라이터가 주로 활동하는 광고분야에서는 카피라이터의 인지도가 중요하기 떄문에 신입이 진출하기에 어려움 있고 광고분야가 경기에 따라 고용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고용은 현재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카피라이터의 평균연봉(중위값)은 3,877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카피라이터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의 제한은 없지만,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국문학이나 광고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한국방송광고공사에서 주관하는 광고교육원의 교육과정이나 민간교육시설에서 카피라이터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카피라이터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한국광고영상제작사협회 http://www.koreacf.or.kr
한국광고학회 http://www.koads.or.kr
한국광고총연합회 http://www.kfaa.org
한국광고총연합회 광고정보센터 http://www.ad.co.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