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천문학연구원

평균연봉 : 4423↑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수리논리력

유사직업명

천문학자

관련학과/관련자격

하는일

천문학연구원은 우주를 구성하는 천체를 관측하고 천체 현상을 물리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해석하며, 나아가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천체들이 생성하고 소멸하는 원리를 밝히는 연구를 한다.

카메라, 분광계, 복사계, 광도계, 마이크로미터 등이 갖추어진 광학망원경, 전파망원경 또는 기타 기구를 사용하여 천체의 현상을 연구한다.

기본적인 물리법칙을 적용하여 혹성, 항성, 성운 및 은하계의 크기, 형태, 광도, 성분, 구조, 온도, 운동 등과 같은 특성을 측정한다.

천체현상에 대한 관찰 및 연구 결과를 기초과학이나 항해 등의 실제적 문제에 적용한다.

천제관측시설의 운영을 관리하며, 천제관측과 관련된 시스템 및 관련 장비 등을 연구ㆍ설계한다.

우주의 탄생과 진화, 외계행성의 탐색, 우주전파수신 등과 같은 우주개발산업에 대한 연구를 한다.

적성 및 흥미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정신과 호기심, 창의성, 관찰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천문학에 대한 전문 지식은 물론 수학과 물리학적 지식이 요구된다.

별자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공간지각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광학망원경, 전파망원경 및 컴퓨터운용능력 등이 요구된다.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 및 분석력과 장시간 동안 별자리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체력과 끈기가 필요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과학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112자연과학 연구원
고용직업분류 1211자연과학 연구원

관련자료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공채나 특채를 통해 천문대, 기상관측소, 전자통신연구소, 시스템공학연구소, 항공우주연구소 등에 채용될 수 있다.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련분야의 연구경험이 중요하기 때문에 석사과정 중에 학내외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원에서 연구보조원(RA), 인턴연구원으로 근무하거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생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입직 시 유리하다.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박사학위 취득 후의 연구경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 고용현황

    천문학연구원를 포함한 자연과학연구원의 종사자수는 20,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우리나라가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지식, 정보, 과학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자연과학 분야의 연구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과학기술 인력의 체계적 육성과 지원을 하고 있으므로 기상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천문학연구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423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천문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하여 천문학 관련 분야의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천문학연구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별도의 직업훈련과정은 없다.

  • 관련 자격증

    천문학연구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없다.

문의기관

한국과학창의재단 http://www.kofac.re.kr
한국천문학회 http://www.kas.org
한국천문연구원 http://www.kasi.re.kr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http://www.kaas.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