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넷 직업분류 : 예술분야(전문직)

컬러리스트

평균연봉 : 3450↑ 일자리전망 발전가능성 : 매우좋음 고용평등 : 매우좋음

핵심능력

손재능, 공간시각능력, 창의력

유사직업명

색채전문가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산업디자인과 , 산업디자인학과 , 시각디자인과 , 시각디자인학과 , 회화학과
관련자격
컬러리스트기사,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하는일

컬러리스트는 색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물건과 환경의 여러 가지 용도와 목적에 맞는 색채를 기획, 적용한다.

색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소비자 선호 조사 등을 통해 유행 색의 경향을 파악한다.

색채규정을 검토, 적용하여 상품의 색상을 기획하고 전체적인 컬러의 방향 및 상품의 배색, 프린트, 패턴 채색을 결정한다.

브랜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소재 및 디테일 등의 경향에 맞추어 색상을 선정한다.

색채를 배합하여 새로운 색채를 만들고 이를 측정, 관리하며 완성품의 색상에 대해 검토한다.

적성 및 흥미

컬러리스트는 미적 감각과 창의성이 요구되며, 컬러를 예측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브랜드에 맞게 색채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섬세한 성격의 사람에게 유리하며 팀원이나 디자인의뢰인들과 원활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리더십, 적응성 혁신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예술분야(전문직)
표준직업분류 2854시각 디자이너
고용직업분류 4154시각 디자이너

관련자료

취업현황

  •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색채디자이너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소비자의 취향에 맞고 구매심리를 자극할 수 있는 색상을 상품에 도입하는 것에 기업체의 관심이 늘었다. 컬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면서 패션, 제품, 미용, 건축, 실내디자인, 원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색채가 고부가가치를 낳은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색채디자인 업무만을 담당하기 보다는 패션디자이너, 제품디자이너, 이미지컨설턴트, 메이크업아티스트 등을 병행하는 경우가 아직까지 많아 고유한 영역을 개척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 임금수준

    컬러리스트의 임금수준은 하위(25%) 2375만원, 평균(50%) 3450만원, 상위(25%) 5000만원이다. (자료:워크넷 직업정보)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컬러리스트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4년제 대학에서 시각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 등을 전공하면 유리하다.

  • 직업 훈련

    사설학원이나 직업전문학교에서 컬러리스트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증

    관련 자격증은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컬러리스트기사가 있다.

문의기관

한국색채연구소 http://www.kcri.or.kr
페이스북 트위터 클래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