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교육 현황조사
진로교육 현황조사란?
정의
진로교육 현황조사는 현행 진로교육이 국가가 지향하는 목표치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 파악할 수 있는 교육지표 중 하나입니다.
진로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알아봄과 동시에 진로교육의 수요자인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 학부모의 주관적인 평가를 함께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현 주소와 나아 갈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됩니다.
근거
진로교육 현황조사는 「 진로교육법」 제6조를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
진로교육법
제6조 (진로교육 현황조사)
① 교육부 장관은 진로교육 정책 수립을 위하여 진로교육 관련 인력 및 시설,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현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구체적인 내용, 절차 및 결과 공개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시행 2015. 12. 23.] [법률 제13336호, 2015. 6. 22. 제정]
경과
2006년에 ‘진로정보센터 운영: 진로교육지표 개발’이라는 연구를 통해 진로교육 현황조사를 위한 조사 영역과 항목 및 지표 등이 개발되었습니다.
이후 2007년도부터 실제 조사를 통해 진로교육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통계청이 승인하는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되었습니다(승인번호: 제11216호, 2015. 07. 24., 통계명: 진로교육 현황조사).
조사 내용체계
조사영역 | 투입 |
과정 |
성과 |
---|---|---|---|
의미 | 진로교육 자원, 환경 및 지원 | 진로교육 활동 운영 및 참여 | 진로 교육 만족도, 성과 및 요구 |
조사내용 |
|
|
|
조사대상 | ![]() |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index/index.do: 진로교육현황조사 통계표 제공
- 마이크로데이터 포털https://mdis.kostat.go.kr/index.do: 진로교육현황조사 원자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