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진로심리검사자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심리검사는 진로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진로상담진로문제로 고민하는 학생·학부모를 위해 진로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직업정보관심 있는 직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학과정보관심 있는 학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진로동영상직업, 학과등의 다양한 동영상 자료를 통한 진로탐색
진로교육자료진로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진로지도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
최종수정일 2023-02-22
생명공학자, 생명공학 연구원, 신약개발자
표준직업분류 : 생명과학 연구원 (세분류 2111)
고용직업분류 : 생명과학 연구원 (세분류 1221)
향후 5년간 생물 정보 분석가의 일자리 규모는 증가할 전망입니다. 생물 정보 분석 분야는 유전자에서부터 시작해 인간 전체로 분석의 단위가 커지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그 대상과 방법이 다양해지고, 축적된 데이터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습니다. 방대한 생물 연구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정보검색, 정보처리와 정보 분석 및 가공 능력이 더욱 필요해졌습니다. 사회적으로 노인인구의 비율이 빠르게 늘어남에 따라 병을 고치고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기에, 생명공학을 활용한 여러 산업과 학문 분야에서 새로운 융·복합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면 관련 산업도 함께 성장할 것입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자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맞춤형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20-22)]
이 직업을 본 중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이 직업을 본 고등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