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석공

  • 관심 추가
  • 추천
  • 인쇄하기(PDF 다운로드)-새창
  • 3,626 만원 평균연봉
  • 매우좋음 일·가정균형
  • 보통미만 사회공헌
  • 페이스북
  • 트위터
  • 추천수 5
  • 조회수 17329

최종수정일 2023-02-22

관련직업명

건축석공

관련학과 및 관련자격

관련자격
석공기능사 석공예기능사 문화재수리기능자

하는일

  • 석공은 1차적으로 가공된 석재를 건축 내ㆍ외장재, 석축용 석재 또는 생활도구나 기념품 등의 목적에 따라 자르고, 다듬고, 만드는 일을 담당합니다.
  • 1차 가공된 석재를 지정된 위치나 번호, 크기, 색상, 형태에 따라 선별합니다.
  • 다양한 장비를 사용하여 석재의 위치 상태와 무늬, 형태를 점검합니다.
  • 석재가 변색되거나 분열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면 보수작업을 수행합니다.

핵심능력

손재능

적성 및 흥미

적성
다양한 석재를 여러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는 손재능이 필요합니다.
흥미
도구를 활용하여 돌을 조각하는 것을 좋아하고 꼼꼼함과 섬세한 손재주가 있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미술이나 건축 등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분류

표준직업분류 : 건축 석공 (세분류 7823)

고용직업분류 : 건축 석공 (세분류 7015)

직업탐색

진로 탐색 활동
다양한 석조 예술 관람 – 석조 박물관, 석조 전시 등의 다양한 석조 미술품에 대한 감상을 통해 돌 조각에 대한 예술성과 감각을 익힐 수 있습니다.

준비방법

정규교육과정
특별히 요구되는 학력의 조건은 없습니다.
직업훈련
직업전문학교에서 석재나 공예 관련 훈련을 받거나 현장에서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일을 배울 수 있습니다.
관련자격증
관련 국가기술자격으로는 석공기능사, 석공예기능사, 석공예산업기사가 있고, 국가전문자격으로는 문화재수리기능사(가공석공, 쌓기석공)가 있습니다.
입직 및 취업방법
소개 및 알선, 기업체의 구인 공고 등을 통해 석재 공급회사, 석공사 전문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습니다.

관련기관

직업현황

직업전망

향후 5년간 석공의 관련 직업인 건축석공의 일자리 규모는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건축석공의 일자리는 건설경기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데,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과 재건축 시장이 성장하고, 도시재생사업도 본격화될 것입니다. 또한 문화와 여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각종 박물관, 미술관, 체험관 등의 건축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건설기능공의 고용시장은 불안정한 고용, 높은 작업강도, 안전사고 위험 등으로 인해 청년층의 신규 진입이 적고 기존 근로자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숙련기술을 익힌 청장년층은 취업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습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임금수준 및 직업만족도
  • 보통 평균연봉3,626만원

    석공의 평균연봉(중앙값)은 3,626만원으로, 조사 대상 전체 직업 평균연봉(중앙값)인 4,072만원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입니다. (자료 : 워크넷, 건축석공(2021))

  • 높음 직업만족도59.4%

    석공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직업만족도는 59.4%입니다. (자료: 워크넷, 건축석공(2021))

학력분포 및 전공계열
고졸: 20%, 전문대졸: 20%, 대졸: 20%, 대학원졸: 20%, 박사졸: 20%

[자료 : 워크넷, 건축석공 직업정보(2021)]

공학계열: 50%, 자연계열: 50%

한국의 직업지표

[자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맞춤형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20-22)]

업무수행능력

중요도, 능력명, 설명으로 이루어진 업무수행능력 표
중요도 능력명 설명
96 신체적 강인성 물건을 들어 올리고, 밀고, 당기고, 운반하기 위해 힘을 사용한다
94 움직임 통제 신체를 사용하여 기계나 기구를 정확한 위치로 빠르게 움직인다
87 유연성 및 균형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각 부위를 구부리고 편다
86 반응시간과 속도 신호에 빠르게 반응하거나 신체를 신속히 움직인다
86 정교한 동작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잡한 부품을 조립하거나 정교한 작업을 한다
80 장비 선정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도구나 장비를 결정한다
79 기술 분석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고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서 현재 사용되는 도구와 기술을 분석한다
78 기술 설계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장비와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한다
77 장비의 유지 장비에 대한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하고 장비를 유지하기 위해 언제 어떤 종류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를 안다
73 조작 및 통제 장비 혹은 시스템을 조작하고 통제한다

[자료 : 워크넷, 건축석공 직업정보(2021)]

지식중요도

중요도, 능력명, 설명으로 이루어진 지식중요도 표
중요도 능력명 설명
100 건축 및 설계 집, 빌딩, 혹은 도로를 만들고 수리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85 안전과 보안 사람들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81 기계 기계와 도구를 사용하고, 수리·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
76 공학과 기술 다양한 물건을 만들고 설계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공학적인 원리, 기법, 장비 등을 실제로 적용시키는 지식
70 운송 비행기, 철도, 선박 그리고 자동차를 통해 사람들과 물품을 움직이는 원리와 방법에 관한 지식
61 사회와 인류 집단행동, 사회적 영향, 인류의 기원 및 이동, 인종, 문화에 관한 지식
58 화학 물질의 구성, 구조, 특성, 화학적 변환과정에 관한 지식
53 디자인 밑그림, 제도와 같이 디자인에 필요한 기법 및 도구에 관한 지식
51 상품 제조 및 공정 상품의 제조 및 유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원자재, 제조공정, 품질관리, 비용에 관한 지식
50 교육 및 훈련 사람을 가르치고 훈련시키는데 필요한 방법 및 이론에 관한 지식

[자료 : 워크넷, 건축석공 직업정보(2021)]

업무환경

중요도, 능력명, 설명으로 이루어진 업무환경 표
중요도 능력명 설명
100 고지대 작업 높은 곳에서(높은 철골구조 위, 타워 크레인 위, 혹은 고층 빌딩 위 등) 작업하는 빈도
99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 매우 덥거나(섭씨 32도 이상) 매우 추운(섭씨 0도 이하) 기온에 노출되는 빈도
99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면서 근무하는 빈도
98 비좁은 업무 공간 불편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 비좁은 공간에 노출되는 빈도
98 보호장비 착용 업무 수행 시 보호장비(안전화, 보안경, 장갑, 귀마개, 안전모, 구명조끼, 전신보호복 등) 착용 정도
98 규칙적인 근무 근무 일정의 규칙성
98 온몸 진동 노출 온몸 진동(예, 수동 드릴이나 혹은 착암기 작동)에 노출되는 빈도
97 균형을 유지하기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근무하는 빈도
97 실외 근무 바깥공기에 노출되는 실외에서 근무하는 빈도
97 위험한 장비 노출 위험한 장비(톱, 이동 기계, 차량)에 노출되는 빈도

[자료 : 워크넷, 건축석공 직업정보(2021)]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성별학교급 비율

성별 비율
49.0% 여자
51.0% 남자
학교급 비율
43.3% 중학생
56.7% 고등학생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직업적성검사 유형

중학생
  • 1 신체·운동능력
  • 2 자연친화력

이 직업을 본 중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고등학생
  • 1 자연친화력
  • 2 손재능

이 직업을 본 고등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11가지 직업적성유형 표
직업적성유형
신체·운동 능력 손재능 공간 지각력 음악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수리· 논리력 자기성찰 능력 대인관계 능력 자연 친화력 예술시각 능력
직업적성검사 하러가기
교육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공인 웹 접근성 품질인증마크